[Q&A] PSHA와 지진파 선정
작성자 : 관리자
(2025-08-31)
조회수 : 92
Q) 등재해도곡선 산정할때 국내 지진데이터 자료가 어떤식으로 반영되는 지 궁금합니다! |
A) 국내 지진데이터는 지진 발생빈도 추정(예: M≥5.0인 지진 발생 확률 추정), 지진원 특성 반영(예: 지진원 모델), GMPE 보정(예: 국내지진으로 해외 GMPE 보정)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최종적으로 PSHA 계산을 통해 등재해도곡선으로 나타납니다. |
Q) SRA 수행할 때 대표 지진파 7개를 선정하였다고 하는데 PSHA에서 선정해주신 걸까요? |
A) 대표 지진파 7개는 PSHA의 지진원 분석을 통해 해당 부지에 발생가능성이 높이 지진 7개를 선별한 후, PSHA의 출력물인 목표 스펙트럼을 만족하도록 보정한 것입니다. PSHA에서 구한 스펙트럼에서 곧바로 제공하는 건 아닙니다. |
Q1) Raw GMs 47개를 선정하실 때 조건(규모 5.5~7/거리 0~80km/Vs 760~1500m/s)을 설정하신 구체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Q2) 대표 지진파 7개를 선정하신 사유도 궁금합니다. (국내 설계에서는 포항지진파, 경주지진파, 인공지진파, 장주기, 단주기를 고려하는 것처럼 이번 선정에도 특별한 기준이나 배경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A1) PSHA 지진원 분석을 통해 해당 부지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진의 특성(규모, 지원 등)을 선정하였고, 기반암(Vs 760m/sec 이상) 조건을 만족하는 지진운동을 선정하였습니다. Q2) 47개 중 스펙트럼과 가장 유사한 것을 위주로 (기타 국내 기준 등을 참조히여) 7개를 선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