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8 [Q&A] PGA vs EPA
작성자 : kim2kie
(2022-10-01)
조회수 : 2276
김두기 2011-04-18 ---------
고민 끝에 개인적 생각을 몇 자 적습니다. 제 답변이 편견일 수도 그리고 틀릴 수도 있습니다.
도로교설계기준(철도설계기준와 유사)과 KBC의 모태는 각각 AASHTO와 IBC(구 UBC)입니다. 두 기준은 서로 사용하는 용어와 표현 방식이 틀릴 수는 있겠지만, 둘 모두 유효지반계수의 의미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AASHTO LRFD (2010)의 응답스펙트럼 작성법을 참조하면, 스펙트럼을 구하는 절차가 Ss와 Sl을 사용한 IBC방법과 거의 동일하게 변경되었습니다.
현동호 2011-04-17 ----------
답변 감사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의문점이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철도설계기준(철도교편)2004 와 KBC에서
같은 지역계수를 가지고 왜 PGA와 EPA로 표현했는냐는 것입니다.
답변자 : 김두기 2011-04-17 ---------------------------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와 유효최대가속도(effective peak acceleration, EPA, Aa)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조금 다릅니다.
"PGA란 계측된 지진가속도 시간이력에서 최대크기를 의미한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PGA는 지표면의 자유장운동(free field motion, 부지응답운동)에서 계측된 지진가속도 시간이력 중에서 최대절대값을 말한다. 즉, PGA는 부지만의 운동이며, 부지에 건설될 구조물의 응답과는 상관이 없다. 응답스펙트럼을 사용하여 PGA를 설명하면, PGA는 무한강성을 갖는(즉, 고유주기가 0) 단자유도계의 지진시 가속도응답 중 최대절대값이다. 따라서 PGA는 주기가 0이 아닌 실제 구조물의 지진에 의한 손상가능성을 제대로 나타낸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실제 구조물에 지진에 의한 손상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진가속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내진설계기준에서는 EPA를 사용한다. ... (중략) (참조: 구조동역학(김두기, 2009) 6.3절)"
현동호 2011-04-11 -------------------
철도설계기준(철도교편)2004 의 일부를 첨부했습니다.
여기보면 지진구역계수가 최대지반가속도를 중력가속도로 나눈 값이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KBC2009에는 유효최대지반가속도를 중력가속도로 나눈 값이라고 되어 있는데
어느 것이 맞는 것인가요?
철도설계기준(철도교편)2004 의 지진구역계수는 KBC2005와 비교해야 하지만 원리는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