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 학회 Job 구인 Gallery 사진

2008-04-11 [RE] [구조동역학] 구조물의 공진여부의 판단?

작성자 : kim2kie

(2022-09-29)

조회수 : 1189

부족한 칼럼을 관심있게 봐주시니,
부끄러움과 함께 책임감 그리고 약간의 보람도 느끼네요.

지진 또는 바람에 관한 해석(또는 실험)을 통해 공진여부를 판단합니다.
아무리 해석 도구가 기능이 다양하고 편리해 졌다지만,
매번 정밀해석을 하는 것은 실제로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실무자가 판단하여 공진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정밀해석을 수행하면 됩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거나 검증된
근사 또는 등가 동적해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입니다.

참조로 건물이나 교량이 고층화 또는 장대화 될 수록
단주기인 지진보다는 장주기인 바람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참고로 6월 칼럼부터 지진, 바람, 파랑 등에 대해 설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칼럼 내용과 각종 예제와 코드 등을 정리하여,
올 가을 구조동역학 개정판을 출간할 예정입니다.


================== 원본글 내용 ==================

 

 

 

교수님이 마이다스에 연재하시는 칼럼은 잘 보고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구조일을 하고 있지만 동역학쪽에는 부족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구조물을 해석하다보면 공진이 일어나니 공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진주기는 피해야 한다는 말들을 합니다.
구조물의 주기야 해석상 얻을 수 있지만 지진이나 풍하중 작용 시 구조물과의 공진 여부를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건물의 주기가 2초일 경우 풍하중이나 지진하중의 탁월주기 성분이 2초일때 공진이 일어날것 같기는 한데 이를 실무적으로 제대로 설명해 주는 사람이 없어서 답답합니다.

건물이나 교량등에 횡력 작용 시 공진현상이 일어나는 주기성분을 어떻게 알아낼 수 있는지 아님 제가 무슨 책을 보면 좀 시원한 답을 얻을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