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 학회 Job 구인 Gallery 사진

2010-04-07 [Q&A] 차량속도의 증가가 처짐량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 이동하중

(2022-09-30)

조회수 : 2713

차량속도와 교량의 진동처짐의 상관관계는
아래 첨부로 올려드리는 논문과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수행시 재하시험을 통해 계측되는 결과와는 상충되는 점이 있어서 아직도 정답이 헷깔리는 부분이 있읍니다
진단업체에 종사하는 실무자들 의견도 들어보면 재하시험시 게이지를 교량에 부착해서 처짐량을 체크해보면 차량속도의 증가가 처짐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어떤게 잘못된걸까요??

---------

몇가지 저의 무지한 답변이 서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설계기준에서 충격계수를 차량의 속도와는 무관하게 0.3보다 작거나 같은 I=15/(40+L)으로 하는 이유와 연관시켜 생각하면 좋을 듯 싶습니다. 즉, 미국에서 오랫동안 도로교의 차량하중에 의한 처짐(또는 변형률)을 계측한 바에 의하면, 정적인 처짐에 비해 최대 25%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즉, 지간이 길수록 처짐의 증폭비율은 줄었으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증가는 하였지만, 그 크기가 크지 않았습니다. (I는 속도의 자승에 비례한다고 하지만, 근거가 확실치는 않습니다.)

교량의 경우 속도가 응답증폭에 거의 무관하게 보이는 이유는 즉, 동적효과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는 이유는 구조물이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massive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교량 설계기준에서 알 수 있듯이 동적이 효과가 큰 부위에서는 차량의 속도도 더 중요합니다. I >= 0.4 (for deck slabs) I =0.35 (for floor beams or stringers)

혹시라도 참조가 될까 싶어 자료하나를 첨부하였습니다. 첨부한 것은 제가 96년도에 작성한 내용인데, 아쉽게도 논문으로 제출하지 못하고 사장되었습니다. 참조를 위해 첨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