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04 [Q&A] KCI (2012) 지진하중조합 주하중 하중계수 감소
작성자 : kim2kie
(2022-10-02)
조회수 : 2831
철근콘크리트구조기준 2012에서 하중조합을 보면
1.4D + 1.6L + 1.6H
1.2D + 1.0L + 1.0H + 1.0E
지진시에 고정하중 및 활하중 토압에 대한 하중계수가 감소합니다.
Q1) 왜 지진을 고려할 때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가 감소하나요?
A1) 하중조합에서 하중계수는 구조물의 파괴확률에 근거를 두고 산정합니다. 즉, 주하중 이외에 W, T, E와 같은 부하중이 함께 조합될 경우, 구조물의 파괴확률을 유지하지 위해서는 주하중의 하중계수를 줄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불확실성이 줄어들 경우에도 하중계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Q2) 건축물이나 지상구조물의 경우, 횡방향 하중인 지진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수직하중인 고정하중이나, 활하중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맞는지요?
A2) 네. 지상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의 영향은 주로 관성력에 기인하므로, 일반적으로 질량을 줄이므로 지진하중의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공진에 의한 동적증폭도 검토하여야 합니다.
Q3) 지중구조물의 경우 설계에서 일반적으로 축력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휨설계만을 하는데 수직하중과 횡방향 토압을 줄여서 검토해야 할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