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 학회 Job 구인 Gallery 사진

2014-02-04 [Q&A] KCI (2012) 지진하중조합 하중계수 1.0H

작성자 : kim2kie

(2022-10-02)

조회수 : 2657

콘크리트구조기준(2012)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할 때는 아래에 제시된 하중계수와 하중조합을 모두 고려하여 해당 구조물에 작용하는 최대 소요강도에 대하여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3.3.1) U = 1.4(D + F)
(3.3.2) ...
(3.3.3) ...
(3.3.4) ...
(3.3.5) U = 1.2(D + Hv) + 1.0E + 1.0L + 0.2S + (1.0Hh or 0.5Hh)
(3.3.6) ...
(3.3.7) ...
(3.3.8) U = 0.9(D + Hv) + 1.0E + (1.0Hh or 0.5Hh)

Q)
2012년 구조설계기준 3.3.2 소요강도에 하중조합에서 식 3.3.5와 식 3.3.8의 지진 하중 조합에서 기존 1.6(Hh+Hv)가 0.9Hv+1.0Hh로 바뀌었습니다.
이 경우 기존 지진시 토압 하중계수가 1.6 이었는데 1.0으로 바뀐다면 기존 2007년 기준보다 횡방향력 값만 봤을때 60%정도가 감소합니다. 혹, 이번에 개정시 상기 지진 하중조합을 사용시 다른 제약조건 같은게 있는지요? 참고로 2003년 구조설계기준에서도 횡방향력(횡토압, 횡지하수압 등)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A)
죄송하게도 분명한 답변과 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향후 다른 분이 좀 더 분명하게 답변을 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현재 제가 참조한 자료를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참조 1] 2012년 1월회 KCI학회지 특집에 실린 "콘크리트구조기준의 개정 배경":
"지중 구조물 설계에서 연직토압과 수평토압이 상쇄되지 않아서 과대설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재하방법을 명시하고 하중계수를 조정함. 해설집에서 보충 설명함."

[참조 2] 2007년도 기준
(3) 식 (3.3.5)와 (3.3.8)에서 지진하중에 대하여 사용수준 지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 대신 1.4를 사용한다.
(4) 식 (3.3.7) 및 (3.3.8)에서 흙, 지하수 또는 기타 재료의 횡압력에 의한 하중 Hh와 Hv로 인한 하중효과가 W 또는 E로 인한 하중효과를 상쇄시키는 경우에는 Hv 및 Hh에 대한 하중계수를 0으로 한다. 만일 측면 토압이 다른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거동을 감소시키는 저항효과를 준다면 이를 Hh에 포함시키지 않아야 하지만 설계강도를 계산할 때에는 Hh의 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참조 3] 2012년도 기준
(3) 삭제
(4) 삭제

[참조 4] 2012년도 해설
연직하중이 횡하중과 조합될 때 연직하중이 큰 경우가 구조물을 더 안전하게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탑이나 벽체 및 기둥) 고정하중이 감소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식 (3.3.7)과 시 (3.3.8)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 조항의 식 및 그 하중계수의 규정을 적용할 때에는 특히 부호에 주의해야 한다. 그 이유는 D,L,W,E,Hh,Hv 및 F의 영향은 서로 상쇄될 수 있으므로 축방향 인장력, 부반력 또는 반대의 휨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