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23 [Q&A] 지진격리교량의 기초에 대한 응답수정계수
작성자 : kim2kie
(2022-10-01)
조회수 : 2348
일반 교량의 기둥의 응답수정계수는 3.
이 경우 기둥의 소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의 응답수정계수는 기둥의 반값(1/2), 즉, 3/2=1.5를 사용한다.
그러나,
지진격리교량의 경우, 기둥의 응답수정계수는 1.5.
이 경우 기둥의 소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의 응답수정계수는 기둥의 반값(1/2), 즉, 3/2=0.75(1보다 큼)를 사용하면, 탄성설계보다도 경제성을 고려한 소성설계 개념에 위배된다.
따라서,
이 경우 최소한 1보다 큰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참조1)
AASHTO LRFD (2007) 3.10.9.3절을 보면,
The value of R/2 shall not be taken as less than 1.0으로 되어 있다. 우리 설계기준에서느 1보다 작은 값이 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 빠져 있다.
참조2)
도로교설계기준(2010) 6.8.2.5절(페이지 6-33)을 보면,
R의 1/2로 나눈 값으로 하거나,
이 절에서 규정된 최대 소성힌지력과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지 않은 탄성지진력 중 작은 값으로 할 수 있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대로 설계된 교각의 경우, 소성힌지력이 탄성지진력보다 크므로, 탄성지진력으로 기초의 설계지진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