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18 [RE] 설계응답스펙트럼과 ZPA에 대하여
작성자 : kim2kie
(2022-09-30)
조회수 : 1149
좋은 질문에 감사 드립니다.
아직도 도로교설계기준(2005)과 AASHTO(2007)와 같은 일부 기준에서는 주기 0에서 Ts까지 constant한 값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Seed 등(1976)이 제시한 계측에 근거한 지반운동자료(구조동역학 6-5장 p.479)와 주기 0에서 가속도응답인 ZPA(zero period acceleration)는 구조물의 상대적 강성이 매우 커서 지반가속도운동과 구조물의 응답이 동일하다는 것을 상기할 때(구조동역학 6-5장 p.503), ZPA를 증폭이 없는 Ca를 사용하는 것이 좀더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쉽게도 근거자료를 찾지는 못했습니다만, 혹시라도 자료를 찾으시면 공유를 해 주실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참고문헌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Structures(by Pankaj Agarwal and Manish Shrikhande, Jan 2006)란 책의 내용을 Google에서 일부 볼 수 있습니다.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 원본글 내용 ==================
좋은 질문에 감사 드립니다.
네. 맞습니다. 내진설계기준연구II(1997)과 KBC기준(2005)에 의해 설계응답스펙트럼을 구할 경우에는 scaling factor인 PGA를 곱할 필요가 없으며, 도로교설계기준(2005)이나 유럽기준(2004)의 경우에는 PGA를 곱해야 합니다. 이 예제는 scaling factor를 넣는 예를 보여준 것인데, 만약 내진설계기준연구II를 따라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정확하게 작성하고자 한다면, PGA를 빼야 합니다. 참고로 PGA를 뺀 원래의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첨부합니다.
================== 원본글 내용 ==================
안녕하세요
교수님의 구조동역학 책을 감사하게 보고 있는 독자입니다.
예제 6.3에 보면 인공지진파를 생성하는 matlab 코드가 있는데요
코드에서 보면 spectral acceleration 값을 구할때
지진계수 Ca, Cv 값에 설계최대지반가속도 pga값을 곱하여 "a0=pga*Ca" 이렇게 나와있는데요
여기서 pga를 곱하는것을 빼야하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설계응답스펙트럼에서 보면
UBC94까지는(?) Sa값이 주기 0에서 Ts까지 constant 값을 가지는데 이후의 기준에서는 주기 0 에서 T0까지는 선형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바뀌는데요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