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 학회 Job 구인 Gallery 사진

2009-06-30 [RE][내풍설계] LNG 탱크의 풍하중 산정

작성자 : 홍성일

(2022-09-30)

조회수 : 1111

지붕이 없는 원통인 경우(굴뚝처럼) 바람이 원통주변을 지나갈 경우, 바람이 원통을 만나게 되면 만나는 지점에서는 원통을 누르는 정압이 발생하게되고, 원통을 눌렀던 공기는 원통표면을 따라 옆으로 흘러가면서 떨어져 나가게되어 원통표면을 당기는 부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뿐만 아니라 원통에 부딪힌 공기의 일부는 원통 윗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때 원통상부에는 와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즉, 지붕이 없을 경우 원통 내부에 있던 공기가 원통을 넘어가는 기류의 영향을 받아 빨려 나가기도 하고(이때에는 부압이 발생하겠죠) 또는 외부 공기가 들어오기도(이때에는 정압이 발생하겠죠) 합니다.

CFD해석 모델링을 확인해보면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만, 아마도 CFD해석 모델링에서 내부 압력을 하중으로써 특별히 재하하지는 않고, inlet wind 조건만 주어져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해석결과로서 상기와 같은 현상에 대하여 정압이 걸리는 경우와 부압이 걸리는 경우에 대하여 정리한 것이 아닌가 하고 추측해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 Peaks(with positive internal pressure) 는 외부 풍하중과 내부의 정압의 벡터합으로써 0도에서는 서로 상쇄되어 1.134kN/m^2, 85도에서는 풍하중에 의한 외부 부압과 내부의 정압의 벡터가 합쳐져 증가되어 -6.244kN/m^2이 발생하게 된 것이고

* Peaks(with negative internal pressure)는 0도에서는 외부 풍하중에 의한 정압과 내부 부압이 합쳐져서 5.471kN/m^2이, 85도에서는 풍하중에 의한 외부 부압과 내부의 부압이 서로 상쇄되어 -1.907kN/m^2의 압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 원본글 내용 ==================

 

 

 

시공이 완료된 단계에서 재하하는 와류진동을 고려한 풍하중의 분포는 호주에 사용하고 있는 SAA code를 적용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나 시공준의 단계를 고려한 roof가 없는 경우의 재하에 관해서는 SAA에서도 확인이 되지않고 또한 그 개념조차 이해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