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6-18 [Q&A] USGS와 우리나라 지진재해지도의 비교
작성자 : kim2kie
(2022-10-01)
조회수 : 2149
[Q: 질문]
교수님께 지진력에 관한 질문을 하고자 연락드립니다.
아시겠지만, USGS는 웹사이트를 통해 전세계의 seismic hazard map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링크: https://geohazards.usgs.gov/secure/designmaps/ww/application.php)
예를 들어 서울용산지역을 조회해보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Global Seismic Hazard Assessment Program
Yongsan / Seoul (37.52754°N, 126.98965°E)
SS = 0.17 g
S1 = 0.07 g
These values are rough approximations based on the probabilistic 10%-in-50-year peak ground accelerations (PGA's) from GSHAP.
The GSHAP values are multiplied by 2 to approximate 2%-in-50-year PGA values, and then multiplied by 2.5 and 1.0, respectively, to estimate SS and S1.
위에서 제시된 Ss와 S1값이 500년 재현주기 지진에 해당되는 것이 맞는지요?
[A: 답변]
네. 맞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KBC 2009의 의 지역계수를 보면, S(즉, S1)를 0.22과 0.14로 나와 있습니다.
이것은 2400년(실제로는 2500년) 주기이며, 이것을 1/2배 하면, 500년 주기가 되며, 각각 0.11( = 0.22/2)과 0.07로 됩니다.
Ss = 2.5 x S1으로 구하는데, S1이 0.07이면, Ss는 0.17이 나옵니다.
해당 지진재해지도는 KBC기준으로 미루어 보아 문제는 지진구역 2일 때는 문제가 없는데, 지진구역 1로 했을 때는 너무 작게 나옵니다.
참고로 구조동역학(2009, 김두기) 6-8장(내진설계의 예제)을 참조하면,
10%-in-50year는 475년 재현주기이며, 2%-in-50year는 2475년 재현주기입니다. 즉, 475년을 2475년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2배를 증폭해 주면 됩니다.
제가 보기에는 USGS의 지진재해지도는 우리나라 지진구역 2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