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2-09 [Q&A] 지중 구조물을 어떠한 내진해석방법으로
작성자 : kim2kie
(2022-10-01)
조회수 : 2508
[Q]
해석대상 구조물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구조물은 배수장 입니다.
3D Plate 모델링을 하여서 내진에 대한 검토가 가능한 해석 및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합니다.
1. 구조물의 좌우 및 후면은 지중에 있습니다.
2. 구조물의 전면은 노출되어 있습니다.(첫번째, 두번째 사진의 유입부 입니다.)
3. 구조물의 상부Slab는 지표면과 Level이 같으며 노출되어 있습니다.
4. 지중 구조물이지만 지하와 지상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지중구조물의 해석처럼 응답변위법을 사용해도 이론적인 문제가 없는 것인지?
지진에 의한 Mononobe-Okabe 토압만을 적용해야 하는 것인지?
시간 이력 해석을 해야 하는지?
설계를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물을 어떠한 해석방법으로 내진해석을 해야 할지 교수님의 고견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A]
1. 구조물이 저층이고, 지중에 묻힌 구조이므로, 지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구조물으로 판단됩니다.
간략 방법인 응답변위법을 사용하여도 무관할 것 같습니다.
2. 모노노베 토압은 지진시 (등가정적) 토압인데, 지반의 변위를 사용하여 토압을 구하는 응답변위법하고는 다른 방법입니다.
따라서 모노노베 토압 또는 응답변위법 중 하나를 택해 간략히 검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모노노베 토압은 토류벽 또는 옹벽과 같은 구조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3. 시간이력해석과 같이 정밀해석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구조물의 중요도와 지진에 대한 위험도를 고려할 때,
등가정적방법(모노노베토압 또는 응답변위법)으로 간략히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4. 설계를 목적으로 한 내진검토는 응답변위법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편하게 연락 주시면, 짬날 때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