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2-11 [RE] 고강도 경량재료는 보통 진동에 취약
작성자 : kim2kie
(2022-10-02)
조회수 : 1071
문의 감사합니다~ ^_^
이해하신 바대로 고강도 경량재료를 사용할수록 큰 구조물을 상대적으로 가볍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고층, 초장대 교량 등 고강도 경량재료를 사용하여 자중을 줄이고, 길고 높으며 가늘게 건설할 수 있습니다.
고강도 경량재료를 사용한 대부분의 대형구조물의 고유진동수는 일반적으로 자연 환경에 의한 외력(바람/지진/자동차 등)의 가진 진동수와 가까워져 진동에 취약하다는 의미로 기술하였습니다.
저는 우리 속담 “빈 수레가 요란하다.(즉, 무게가 가벼울수록 요란하게 진동한다)”는 말로 이 현상을 설명하곤 합니다.
연말연시 좋은 일들 많기를 소망하며.
================== 원본글 내용 ==================
안녕하십니까?
구조동역학에 이제 처음 입문하는 회사원입니다.
교수님 책을 읽는 중 궁금한 사항이 있어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4page의 그림 아래 쪽에 있는 문구 입니다.
"고강도 경량재료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현대구조물은 진동에 취약하게 되었으며, 더불어 구조물의 동적 해석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여기서 고강도 경량재료가 진동에 취약하다는것의 의미를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제 아주 짧은 생각으로는 경량재료를 사용하여 부재의 단면을 줄여서 경량화를 하면 피로에는 취약하다는 것은 이해하겠습니다. 하지만, 고유진동수를 회피하는 측면을 본다면 진동 자체에 취약하다는 것이 이해가 안되서요.
그럼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좋은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