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2-08 [Q&A] 환경진동(Meister 진동감각곡선)
작성자 : kim2kie
(2022-10-02)
조회수 : 2540
구조동역학(3판 추가 예정) 5-1장 환경소음 및 진동
Meister 진동감각곡선(Meister curve; Meister scale)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1930년대에 Reiher & Meister에 의해 시작되었다. Reiher & Meister(1931)는 사람이 지각하는 정상상태 수직진동은 5-100Hz 진동수 구간에서 0.004-0.4in의 변위 진폭임을 실험을 통해 밝히고, 다음에 보인 6개 구간으로 나타낸 진동감각곡선으로 제시하였다.
1. 느끼지 못함 (not perceptible)
2. 겨우 느낌 (slightly perceptible)
3. 분명하게 느낌 (distinctly perceptible)
4. 강하게 느낌 (strongly perceptible)
5. 불쾌함 (disturbing)
6. 매우 불쾌함 (very disturbing)
이후 Lenzen(1966)은 “사람은 정상상태 진동보다 천이상태 진동에 덜 민감하고, 대부분이 감쇠진동은 약 5번의 사이클이 지나면 무시할 정도로 감쇠하므로, 사람은 초기 충격에 제일 민감하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Reiher & Meister의 진동감각곡선을 수정하여, 감쇠비가 낮은(5% 이하) 구조물의 (천이상태) 수직진동수준을 평가하는데 적용 가능한 수정 Reiher & Meister 진동감각곡선(또는 Meister 진동감각곡선)을 제안하였다. 이 진동감각곡선은 1931년 제시된 진동감각곡선의 변위진폭에 10을 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