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emia 학회 Visitor 방명록 Gallery 사진

2019-09-06 [Q&A] AISC N690 하중조합과 허용응력계수

작성자 : kim2kie

(2022-10-07)

조회수 : 2652

table1571.jpg 내려받기

Q2)
지진하중 조합 시 Q1.3.6에서와 같이 Factor “0.9”를 적용하는 맞는지 궁금합니다.

A2)
AISC N690의 경우, S0(1994), S1(2002), S1개정(2004)로 발행이 되었습니다.
0.9를 사용하는 것은 지진하중 조합 시… 즉,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이 들어간 경우, 재질의 허용응력계수를 0.9로 적용하라는 말이 아니라.
하중조합 시, (굳이 지진하중이 아니어도) “항상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는 개별 하중에 0.9의 하중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ex. D+L  D+0.9L )
그러나, 실제 실무에서 안전측 검토를 위해 이렇게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Q1)
OBE 지진하중 조합 시 허용응력계수를 1.0으로 적용하게 되면 Normal 조건과 동일한 허용응력계수를 적용하는데요.

A1)
A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동시 작용력이 있는 경우 하중에 0.9의 하중계수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지진하중이나 풍하중의 방향성에 따라 오히려 부재의 변위를 줄이거나 응력을 감소시키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수평의 캔틸레버에서…. 자중과 활하중은 중력방향(-z)으로 작용하지만
풍하중은 연직으로 불어올라오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지진해석시 +z방향의 지진하중에 대해서는 오히려 응력감소의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하중계수와 허용응력계수를 구분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