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emia 학회 Visitor 방명록 Gallery 사진

2019-08-12 [RE][RE][RE][RE] 안녕하세요 교수님 RC구조도 질문 가능할까요?? / 질문입니다.

작성자 : 정재천

(2022-10-07)

조회수 : 974

엄밀히 따지면 말씀하신대로 d만큼 떨어진곳에 대해서 산정하는 것이 맞죠.

다만 w값을 주어주지않았으므로

안전측으로 설계하기위해 Vu값으로 산정하는쪽이 합리적이라 판단됩니다.


================== 원본글 내용 ==================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나머지 내용은 이해가 됐습니다.

궁금한 게 하나 생겼는데 제가 Vu를 구할 때

Vu= 1.2Vd + 1.6VL = 248KN 으로 구했고

이 Vu를 사용하여 전단철근을 배근하지 않을 때의 d를 구해서 1653mm가 나왔습니다.

생각해보니 이 Vu는 지점에서의 전단력이 아닌 지점에서 d만큼 떨어진 위험단면에서의 전단력을 Vu라 하기 때문에

Vu = 248 - W x d 인데

여기서 W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계수전단력을 통해서 구한 값으로 그냥 Vu = 248 KN이라고 한 것으로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 원본글 내용 ==================

 

 

 

안녕하세요 건축구조기술사 정재천입니다.
대부분의 내용은 첨부파일에 설명되어있지만, 다시설명드리면
1)
d : 그냥 인장철근까지의 거리입니다. 우리가 보설계시 사용하는 d 와 동일한거죠

2)
a : 지점으로부터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곳 까지의 거리에 불과합니다.
Mu/Vu = a 가 성립하게 된 이유또한,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보에서 a만큼 떨어진 위치의 모멘트는 Vu x a 가 될수밖에 없기 때문이고, 수식적인 가치는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a값과 d값을 알고있으면 그냥 a/d 값을 직접구하면 되지 Mu/Vu 어쩌구 하는방법은 쓸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3)
등분포하중일대 a/d 가 Ln/d 가 되는 이유는 첨부파일의 방법2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4)
등분포하중 작용시
a/d < 1 일경우 발생하는 압축파괴는 발생하나,
1< a/d < 2.5 일때 발생하는 전단압축파괴는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 이유는, 이경우 압축파괴는 주로 하중의 작용점(즉 집중하중이 떨어지는곳)에서 발생하는데, 등분포하중일 경우엔 하중이 분산되므로 하중작용점에서의 파괴는 발생하지 않겠죠.

 

 


================== 원본글 내용 ==================

 

 

 

안녕하세요 교수님 최근에 쓰신 응용역학 개념 정리나 문제 올리신 것 정말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ㅠㅠ 너무 완벽하게 만드셨어요.. 물론 어렵지만 차근차근 풀어보고 있습니다.

RC구조에 대한 질문인데 해도 될지 모르겠네요..

문제가 이렇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저의 풀이는 다음 순서의 글이나 또는 답글에다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단경간비가 집중하중일 때 a/d = Mu/Vu x 1/d 로 알고 있는데 Vu는 지점으로부터 d 떨어진 위험단면에서의 Vu인가요?? 아니면 소요계수를 이용해서 구한 소요전단력 Vu인가요??
그런데 Mu를 어느 지점에서 어떻게 구해야 하는 건가요?? Mmax 로 하는 건 아닌 것 같고 해서 그냥 d 떨어진 지점에서의 M을 구해서 Mu에 대입했는데 아리송합니다 ㅠㅠ...

그리고 전공책을 찾다보니 집중하중이 아닌 등분포하중일 때는 전단경간비가 a/d가 아니라 Ln/d 라고 나와있던데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를 모르겠어요 ㅠㅠ 질문이 너무 길어서 죄송합니다.

결론은 문제에서 구하라는 유효깊이값, 전단경간비 값, Mu는 어떻게 구하는지?, 등분포하중일 때의 전단경간비는?, 전단경간비에 따른 균열발생상황 및 파괴형태는 어떻게 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