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 게시판

Notice 공지 Free 자유 Q&A 질문 Academia 학회 Visitor 방명록 Gallery 사진

2018-06-15 [RE] 정지토압과 스프링

작성자 : kim2kie

(2022-10-05)

조회수 : 871

문의에 감사드립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를 답장으로 드립니다.

[Q1]
내진설계에서 지중구조물은 정지토압에 지진시 토압을 더해서 계산하고 있습니다.
내진설계시 지반 변위를 하중으로 치환하여 적용하므로 주동토압에 지진시 토압을
더해서 계산하는 것이 맞지않나 문의드립니다.

>
[A1]
하중조합을 개념으로 생각을 합니다.
즉, 정적하중(주동/수동/정지토압) + 동적하중(지진시토압)입니다.
따라서 지진시 구조물의 변형에 의한 정지토압 가정이 실제로 아니라고 할지라도,
(설계기준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정적하중으로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 설계기준에 정의된 하중조합입니다..

[Q2]
지진시 측벽 경계조건 관련하여 측벽 및 슬래브 지반스프링을 압축전담스프링 요소를 쓰는 것
맞나요 아니면 압축과 인장을 모두 받는 선형 스프링요소로 적용하는 것이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
[A2]
비선형(비탄성) 해석 또는 구조물과 지반사이의 틈(gap) 등을 고려하고자 한다면, 압축전담스프링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선형해석 또는 탄성 유한요소해석을 사용한다면 일반 스프링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한편 경우에서 보수적인 결과를 내는 것을 사용한다면 논리적으로 보수적인 설계를 했다는 것에 대해 설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응답변위법은 등가 약식인 방법인데, 굳이 복잡한 스프링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 원본글 내용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내진관련하여 교수님의 자료로 공부하고 있는 토목인입니다.
저는 엔지니어링 회사에서 토목설계일을 하고있습니다.
이번 과업을 진행하며 지중구조물 내진설계를 하고 있는데 응답변위법에 대해 몇가지 문의드립니다.
1) 내진설계에서 지중구조물은 정지토압에 지진시 토압을 더해서 계산하고 있습니다.
내진설계시 지반 변위를 하중으로 치환하여 적용하므로 주동토압에 지진시 토압을
더해서 계산하는 것이 맞지않나 문의드립니다.
2)지진시 측벽 경계조건 관련하여 측벽 및 슬래브 지반스프링을 압축전담스프링 요소를 쓰는 것
맞나요 아니면 압축과 인장을 모두 받는 선형 스프링요소로 적용하는 것이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소중한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