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스펙트럼 결과 기반 등가정적해석 절차서
ANSYS · Abaqus

응답스펙트럼(Response Spectrum, RS)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등가정적(Equivalent Static Load, ESL) 해석을 수행하는 절차를 기술한다. 핵심은 모드별 최대 응답을 등가의 정적 하중으로 환산하고, 모드 조합(SRSS 또는 CQC)을 하중 수준에서 수행하여 정적해석에 적용하는 데 있다.

1. 기본 개념

2. 공통 절차(요약)

  1. 모드해석 수행 및 방향별 누적 참여질량 확인(통상 90% 이상 권장).
  2. 설계 응답스펙트럼과 감쇠 \(\zeta\) 설정(PSHA 또는 설계규준 기반).
  3. \(S_a(\omega_r,\zeta)\)를 각 모드 주기에 보간하여 \(\mathbf{F}_r\) 산출.
  4. SRSS 또는 CQC로 \(\mathbf{F}_{\text{ESL}}\) 조합.
  5. \(\mathbf{F}_{\text{ESL}}\)을 절점하중 또는 층력 분포로 적용하여 정적해석 수행.

3. 층상 구조의 간이 분배식

층상 구조물에서는 모드별 층전단을 \[ V_r = S_a(\omega_r,\zeta)\,M_r \] 로 계산하고, 층 \(i\)에 분배할 힘을 \[ F_{r,i}=V_r \cdot \frac{m_i \phi_{ir}}{\sum_{j} m_j \phi_{jr}} \] 로 정의한다. 최종 층력은 선택한 조합규정으로 모드 조합하여 적용한다.

4. ANSYS 절차

! (개요) 모드해석 완료 → Sa 보간 → F_r 조립 → SRSS/CQC → 정적해석
*dim, FR, array, Nnode
*dim, Sa, array, Nmodes
*do, r, 1, Nmodes
  Sa(r) = SPECTRUM(freq(r), zeta)
  ! F_r_i = m_i * phi_ir * Gamma(r) * Sa(r) * 9.81
  ! 노달질량·모드형상으로 누적
  ! SRSS 예: FR(i) = sqrt(FR(i)**2 + F_r_i**2)
*enddo

/SOLU
ANTYPE,0
! 경계조건 정의
F, node_i, FX, FR(i)
SOLVE
FINISH

5. Abaqus 절차

  1. Step-1: *FREQUENCY — 모드 획득.
  2. Step-2: *RESPONSE SPECTRUM — 스펙트럼 표, DAMPING, COMBINATION=SRSS|CQC 설정. 참여계수·유효질량은 .dat에서 확인.
  3. ESL 조립 — Python으로 .dat/.odb에서 모드·질량·\(S_a\)를 읽어 \(\mathbf{F}_{\text{ESL}}\) 산출.
  4. Step-3: *STATIC — 산출 하중을 *CLOAD 또는 *DLOAD로 적용하여 정적해석 수행.
# Abaqus Python 개요 스케치
from odbAccess import openOdb
odb = openOdb('job.odb')
# 1) 모드형상/주파수/참여계수 읽기
# 2) Sa 보간 → F_r = M * phi_r * Gamma_r * Sa * 9.81
# 3) SRSS 또는 CQC로 F_ESL 구성
# 4) inp에 *CLOAD 블록 생성 후 정적해석 실행
*STEP, NAME=ESL_STATIC, NLGEOM=NO
*STATIC
*CLOAD
N1, 1,  Fx_N1
N2, 1,  Fx_N2
...
*END STEP

6. 검증 체크리스트

7. 단위 및 모델링 주의